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5

인공지능과 로봇 전공자들이 보기에는 전혀 다른 카테고리이지만, 전공 밖의 사람들이 보면 잘 구분이 가지 않는 것들이 있다. 인공지능과 로봇도 그런 것들 중 하나인 모양이다. 학문적으로 로봇과 인공지능을 구분하기란 매우 쉽다. 최소한 실물이 없으면 로봇이라고 할 수 없다. 위키백과에서 로봇의 정의로 등록되어 있는 표현은 아래와 같다.『기계』 인간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걷기도 하고 말도 하는 기계 장치.『기계』 어떤 작업이나 조작을 자동적으로 하는 기계 장치.이처럼 로봇과 기계의 범주는 애매할 수 있을지언정, 로봇과 인공지능은 그 구분이 명확하다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왜 로봇과 인공지능을 모호하게 여기는 사람이 많을까. 몇 가지 추측해 보건대 이는 아마 사람들이 로봇이라 하면 휴머노이드부터 떠올리는 사람이 많고, 휴머노.. 2025. 2. 26.
경로, 궤적과 인공지능 로봇을 움직이려면 먼저 로봇을 어떻게 움직이면 좋을까를 미리 생각해야 한다. 아무 장애물이 없는 공간에서 로봇을 A지점으로 옮기고 싶으면 어떻게 움직여야 최적인가? 무엇을 기준으로 최적을 만드는가? 장애물이 있다면 어떻게 움직이는 것이 좋은가? 이런 것들이다. 산업용 로봇을 생각한다면, 사실 경로 계획은 거의 필요하지 않다. 산업용 로봇은 로봇이 미리 짜여진 환경에서 움직이게 되므로, 로봇이 무언가를 인지하고 판단해야 할 일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로봇을 설치할 때 만들어 둔 프로그램에 모든 경유점 데이터가 들어있을 것이다. 실제로 필요한 것은 그 경유점들을 어떻게 최단 시간에 주파할 것인가이다. 이를 위해서는 시간을 기준으로 최적화한 궤적을 만들 필요가 있다.  정지 상태에서 시작하여 정지 상태에서 종.. 2025. 2. 18.
로봇을 만들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 로봇을 실제 구성하게 될 경우에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통신 프로토콜이다. 이는 로봇의 하드웨어의 신뢰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통신이 로봇의 신뢰성에 영향을 주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통신 자체의 무결성 보장에 대한 것과 통신 속도에 대한 것이다.  무결성의 경우 알기 쉽다. 통신 자체에서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다면 괜찮지만, 무결성을 보장해주지 않는다면 준 명령이 그대로 전달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명령이 깨져서 전달된다면, 로봇이 원하는 대로 움직이지 않는 것을 넘어 폭주할 가능성도 있고, 이는 사고와 직결될 수 있는 위험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통신 수준에서의 무결성 검사는 이런 사고를 예방하는 첫 번째 관문이라 할 수 있다. 통신.. 2025. 2. 17.
로봇 매니퓰레이터에 대하여 이해하기 위한 로드맵 로봇 매니퓰레이터는 기본적으로 복잡한 시스템을 갖기 때문에, 시스템 자체에 대한 이해에 시간을 쏟지 않으면 전반적인 개념을 잡기 매우 어렵다. 로봇을 실제로 만들기 위해서는 통신이나 기구, 회로 등 하드웨어에 대한 깊은 이해와 그럼에도 생기는 시행착오에 대응하기 위한 경험을 필수적으로 요구하지만, 일단 여기서는 매니퓰레이터를 원하는 대로 움직이고자 하는 학생이 생각할 만한 이론적인 이야기만 하려고 한다. 휴머노이드가 보행 중 작업을 하는 경우는 박사과정쯤 되어야 이야기를 시작할 수 있을 정도로 복잡도가 높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바닥에 고정된 로봇 팔 하나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사실 도중에 신경써야 할 것이 훨씬 많아져서 그렇지 기본적인 구조는 휴머노이드까지 가더라도 크게 달라지지는 않는다. 로봇을 움직이.. 2025. 2. 16.
로봇의 개념 및 분류 로봇이라는 단어는 매우 여러 곳에서 혼용되고 있기 때문에 지금도 정의가 명확하지 않은 편이다.여기에서는 "Robotics"로 분류되는 학문에서 사용하는 분류 및 법적 기준으로 로봇에 대해 이야기할 것이다.따라서 구글 봇과 같은 자동화 프로그램은 로봇으로 분류하지 않으며, 실체가 있는 자동화 기기만을 로봇으로 분류한다. 1. 로봇 매니퓰레이터와 모바일 로봇 학문적으로 로봇을 분류하면 대체로 크게 로봇 매니퓰레이터와 모바일 로봇이라는 두 가지로 분류된다. 로봇 매니퓰레이터란, 고정된 위치에서 어떤 물체를 핸들링하면서 작업하는 부류의 로봇을 말한다. 법적으로는 3개 이상의 구동기가 붙어있는 물건만 매니퓰레이터로 분류되며, 그 이하는 일반 기계로 분류한다.모바일 로봇은 움직이는 로봇을 말한다. 다리로 움직이든 .. 2025. 2. 15.
반응형